지난 글지난번엔 ReactiveX 홈페이지를 아주 간단히 살펴봤다. 사실 살펴보면서 직접 사용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Programming] 반응형 프로그래밍 - 2. ReactiveX📝 지난 글 [CS] 반응형 프로그래밍 - 1. 기본 개념🧑🏻💻 내가 반응형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게 된 이유갑자기 채용공고들을 올려서 이게 뭐지 싶겠지만, 여기서 우대 사항, 참고 사항에 들어swift-library.tistory.comReactiveX는 RxSwift를 통해 Swift를 지원한다! 나는 이번에는 SPM을 통해 RxSwfit를 사용해 볼 예정이다. GitHub - ReactiveX/RxSwift: Reactive Programming in SwiftReactive Programming in S..
📝 지난 글 [CS] 반응형 프로그래밍 - 1. 기본 개념🧑🏻💻 내가 반응형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게 된 이유갑자기 채용공고들을 올려서 이게 뭐지 싶겠지만, 여기서 우대 사항, 참고 사항에 들어가는 내용 중에 공통으로 보이는 키워드는 반응형swift-library.tistory.com지난 글에서는 간단하게 반응형 프로그래밍의 기본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반응형 프로그래밍하면 연관 깊은 ReactiveX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ReactiveX 톺아보기ReactiveX(Rx, Reactive Extensions)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반응형 프로그래밍을 구현하기 위해 만든 라이브러리 집합으로 2011년에 공개된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그만큼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는... 라이브러리..
🧑🏻💻 내가 반응형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게 된 이유갑자기 채용공고들을 올려서 이게 뭐지 싶겠지만, 여기서 우대 사항, 참고 사항에 들어가는 내용 중에 공통으로 보이는 키워드는 반응형 프로그래밍, RxSwift가 주로 보인다. 반응형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제대로 공부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던 가장 큰 이유는 필요해 보이기 때문이 컸다. 왜냐하면 신입 개발자 입장에서 반응형 프로그래밍이 최고이니 공부해 봐야겠다. 이런 식으로 판단을 내릴 수는 없다고 생각하고 위처럼 굵직한 기업들이 그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면 충분히 공부할 가치가 있는 수준... 이 아니고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기존에 Combine을 사용하면서 느낀 점은 데이터가 복잡해지고, 비동기 개념이 나오고... 변경되는 데이터 시점을 알..
🧪 Test Double?항상 테스트를 하면서 Mock, Stub, Fake... 이런 키워드들을 보면서 언제 어떤 걸 쓰는 게 맞는 표현인지가 궁금해서 이번기회에 제대로 찾아보게 되었다.🤓 공식... 정의?솔직히 요즘 인공지능이 생겨나면서 인터넷에서 도대체 어떤것이 정확한 자료인지 항상 고민이 많이 된다. 그러다가 마틴 파울러 사이트에서 이것을 명확하게 정의한 것을 보게 되었다. 마틴 파울러가 누군지는 굳이 말할 필요 없을 것 같다. bliki: Test DoubleTest Double is generic term for fakes, mocks, stubs, dummies and spies.martinfowler.com마틴 파울러는 5가지를 소개하고 있다. Dummy, Fake, Stub, Spy,..
코드를 작성할 때 아키텍처, 디자인 패턴에 대한 많은 고민들을 한다. 간단하게 아키텍쳐와 디자인 패턴의 차이부터 정확하게 알고 싶었다. 프로젝트를 하면서 SwiftUI에서 어떠한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지가 요즘 가장 큰 관심사이다. 아키텍쳐 중 흔히 들어본 MVVM, MVC, MVP 등등... 정말 많은 공부가 필요할 것 같다. 또한 이중에 SwiftUI에 잘 맞는 아키텍쳐는 무엇일지 평생 풀어야할 과제일 것 같다. 아키텍쳐와 디자인 패턴의 차이를 알아보자. 소프트웨어 아키텍쳐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정의한다. 아키텍처는 시스템의 확장성, 유지보수성, 성능 및 보안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 결정되고, 시스템의 큰 그림과 전체적인 방..